결론: 좀 편해졌으면 좋겠지만 그래도 해답이 있어 다행이라는 생각을 많이 한다.
소개
들어가기에 앞서 먼저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는 AMD 와 Nvidia 3070 을 사용하고 있다. 즉, CPU 내부 그래픽카드와 별도의 그래픽카드가 둘 다 있는 상황이다.
사실 그래픽카드가 하나이면 크게 설정할 부분이 없다. 하나만 사용하게 되니까 연결된 모니터들은 하나의 그래픽카드에서 화면을 구성한다.
하지만 나처럼 게임을 위해 노트북에 별도의 그래픽카드가 있는 사양이면 쉽지만 동시에 어려운 길을 갈 수도 있다.
만약에 Intel/Nvidia 라면 다음 글도 도움이 될거다.
Guide: Install and configure optimus-manager for hybrid GPU setups (Intel/NVIDIA)
For hybrid GPU laptops with Intel and Nvidia the best solution usually is to have switchable graphics: Intel for normal, everyday usage (uses less power and saves battery) and NVIDIA for games or more graphic intense programs (uses more battery). Optimus m
archived.forum.manjaro.org
사전 확인
먼저 외부 모니터와 연결했을 때 실제로 인식했다는 가정 하에 해당 글을 읽어주면 된다. 인식이라는 의미는 아래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연결된 모니터들이 보인다는 뜻이다.
$ xrandr
추가로 정보를 얻고 싶으면 다음 명령어도 실행해주면 좋다.
$ inxi -Fazy
AMD/Nvidia 어디서부터 시작?
제일 먼저 시작해야 하는 부분은 이해다. 먼저 Nvidia 에서 제공하는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설치할 때에는 오픈소스가 아닌 Proprietary 드라이버로 설치를 해야 한다.
이 때 설치를 쉽게 하는 방법은 Manjaro 에서는 mhwd 라는 도구를 제공한다. Manjaro Hardware Detection 은 Manjaro 에서 알아서 연결된 하드웨어를 파악해서 필요한 드라이버들을 설치해준다.
https://wiki.manjaro.org/index.php?title=Manjaro_Hardware_Detection_Overview
Manjaro Hardware Detection Overview
쿠키는 저희의 서비스 전달에 도움을 줍니다. 저희의 서비스를 사용함으로써 당신은 저희의 쿠키 사용에 동의하게 됩니다.
wiki.manjaro.org
이 툴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설치를 쉽게 진행할 수 있다.
GUI 어플리케이션으로는 'Hardware Configuration' 을 찾게 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여기를 보면 위에 'Auto Install Proprietary Driver' 와 'Auto Install Open-Source Driver' 가 있다. 이 둘을 그냥 눌러주기만 해도 설치가 알아서 된다.
터미널에서도 쉽게 진행할 수 있다.
$ sudo mhwd -a pci nonfree 0300
$ sudo mhwd -a pci free 0300
위에서 첫번째 명령어는 Proprietary 드라이버 설치고 두번째 줄은 오픈소스 설치하는 줄이다.
이렇게 일단 진행해서 먼저 드라이버는 설치한다.
Optimus-Manager
드라이버만 있다고 이제 성공한 것은 아니다. 이제는 그래픽카드를 어떤 걸 사용할지 설정해줘야 하는데 이 작업을 매우 쉽게 해주는 패키지를 설치한다.
먼저 다음 AUR 패키지를 설치해준다.
https://aur.archlinux.org/packages/optimus-manager
AUR (en) - optimus-manager
Maintainer: Askannz
aur.archlinux.org
그리고 그래픽 설정을 원한다면 다음 패키지도 설치해준다.
https://aur.archlinux.org/packages/optimus-manager-qt
AUR (en) - optimus-manager-qt
Maintainer: Shatur
aur.archlinux.org
AUR 패키지 설치는 간단하다.
위 링크에서 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나올텐데
여기에서 Git Clone URL 을 복사해준다. (클릭해도 복사)
그리고 터미널에 들어가서 다음과 같이 진행해주면 된다.
$ git clone https://aur.archlinux.org/optimus-manager-qt.git
$ cd optimus-manager-qt
$ makepkg -si
물론 '$' 는 빼고 해준다.
이렇게 위에 있는 optimus-manager 와 optimus-manager-qt (선택) 을 설치해주면 이제부터 더 이상의 설치는 없다.
그래픽 카드 설정 변경
이제는 그래픽카드를 무엇을 사용하고 있는지부터 확인해야 한다.
먼저 다음 명령어로 확인 가능하다.
$ optimus-manager --status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올 것이다.
여기에서 Current GPU mode 가 'integrated' 이면 CPU 내부 그래픽이라는 뜻이다. 이걸 이제 둘 다 사용하는 hybrid 로 변경해주면 되는데 다음 명령어로 할 수 있다.
주의!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 되기 때문에 하던 작업이 있다면 저장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 optimus-manager --switch hybrid
이렇게 설정해주면 로그아웃 - 로그인 절차를 거치면서 그래픽 카드 설정이 변경되어 이제 외부 모니터도 사용 가능하다!
여기에서 이제 마지막 관문이 남았다.
DE 환경 설정 변경
마지막으로 설정을 조금 건드려야 한다. 위 순서까지 잘 따라왔다면 이제 KDE, Gnome 에 따라서 추가로 설정해야 하는 부분들이 존재한다. 먼저 들어가기 전에 Wayland 는 현재 호환이 안되니 X11 으로 변경해서 사용하거나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
나는 KDE 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추가 설정을 해줬다.
먼저 `/etc/sddm.conf` 에 들어간다.
$ sudo vi /etc/sddm.conf
여기 파일에서 2 개의 줄을 주석처리해줘야 하는데 하나는 `DisplayCommand` 이고 다른 하나는 `DisplayStopCommand` 이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설정한 파일이 생긴다.
그리고 마무리로 재부팅해주면 위 `optimus-manager --switch hybrid` 명령어가 제대로 실행이 될 거다.
만약에 Gnome 이나 다른 환경이라면 해당 깃헙 레포를 참조하면 된다.
https://github.com/Askannz/optimus-manager
GitHub - Askannz/optimus-manager: A Linux program to handle GPU switching on Optimus laptops.
A Linux program to handle GPU switching on Optimus laptops. - GitHub - Askannz/optimus-manager: A Linux program to handle GPU switching on Optimus laptops.
github.com
자동 설정
컴퓨터가 재부팅되면 설정이 변경되기 때문에 해당 설정을 바꿔줘야 한다. 이 때 편하게 optimus-manager-qt 를 설치했다면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다음과 같이 'Launch at startup' 을 설정해주면 끝이다.
결론
만약에 리눅스 환경에서 2개의 그래픽카드를 사용한다면 쉽지 않은 고비일 수도 있다. 특히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는 알아야하는 부분들이 많은데 해당 부분들이 좀 더 쉽게 되었으면 좋겠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njaro 한글 입력하기 (0) | 2022.06.19 |
---|---|
Manjaro on Razer Blade 14 (0) | 2022.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