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 fcitx5 를 이용하게 되면 클릭 몇번에 한글 입력이 가능하다.
IMF (Input Method Framework)
fcitx5 는 이전 fcitx 의 후계자(?) 이다. Manjaro 를 사용하게 되면 어떤 환경인지에 따라 다르지만 IBus 라는 IMF 를 사용한다. 여기에서 IMF 는 Input Method Framework 로 지금 다루고 있는 fcitx5, fcitx, IBus 등등이 여기에 속한다. 이들은 사용자의 입력을 변환해주는 IME (Input Method Editor) 들을 포함하고 있는 좀 더 큰 애들이다.
문제는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는 IMF 가 아마도 Gnome 환경인 경우 혹은 KDE 도 마찬가지일 수 있지만 IBus 라는 것이다. 물론 영어만 사용한다면 큰 문제가 될 건 없지만 한글이나 아시아 언어 (예를 들어 중국어, 일본어 등) 을 사용하고 싶을 때에는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여기를 참고하면 도움이 될거다
https://wiki.archlinux.org/title/Input_method
Input method - ArchWiki
Input method Tip: If parts of the following text show on your screen as gibberish, please make sure you have installed a Chinese or Japanese font on your system. See Fonts#Chinese, Japanese, Korean, Vietnamese for a non-exhaustive list of available fonts.
wiki.archlinux.org
IBus 에서도 물론 'Korean' 입력을 제공하지만 실제로 사용해보면 아무 변화가 없는 그냥 영어 키보드이다.
따라서 한글 입력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따라서 fcitx5 로 입력 프레임워크를 변경해줘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fcitx5
설치
먼저 fcitx5 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여러 방법이 존재한다. 설치 전에 일단 필요한 목록을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 fcitx5 : 메인 IMF 툴
- fcitx5-configtool : fcitx5 를 설정할 수 있는 GUI 설정 도구
- fcitx5-hangul : 한글 입력을 위한 IME
- fcitx5-gtk : gtk 어플리케이션들에서 fcitx5 를 입력하기 위한 도구
- fcitx5-qt : qt 어플리케이션들에서 fcitx5 를 입력하기 위한 도구
이 목록은 Manjaro 에서 제공되는 'Add/Remove Software' 도구에서 찾아서 설치할 수도 있고 CLI 에서도 할 수 있다.
먼저 GUI 를 보여주자면 다음과 같다.
위 사진은 내 컴퓨터에 있는 fcitx5 관련 설치 목록이다.
이렇게 필요한 패키지들을 설치하고 나서는 한번 재부팅을 해도 좋다.
설정
이제 설치가 되었으니 설정을 해야 된다. 단순히 설치만 한다고 해서 자동으로 IMF 가 변경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각 DE 환경에 따라 설정이 필요하다.
만약에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DE 가 어떤건지 잘 모른다면 `$ fcitx5-diagnose` 를 실행해보자. 이 명령어는 fcitx5 가 제대로 동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항목들을 나열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작동되고 있는 시스템에 대한 정보도 보여준다.
위 그림과 같이 KDE 환경에서 실행했기 때문에 DE 가 알맞게 보이고 아래에는 사용하고 있는 X11 이 알맞게 보인다 (Wayland 사용 안함).
이제 DE 를 알게 되었으니 설정을 해줘야 한다. 여기에서는 전부 다룰 수는 없고 기본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KDE 와 Gnome 만 다루고 자세한 건 아래 사이트에 나와 있으니 참고 바란다.
https://wiki.archlinux.org/title/Fcitx5
Fcitx5 - ArchWiki
Fcitx5 is an input method framework with a lightweight core, offering additional language support via addons. It is the successor to Fcitx. Installation Install the fcitx5 package. fcitx5-im group provides fcitx5 ontology, #Configuration tool, and necessar
wiki.archlinux.org
먼저 root 권한으로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실행한다. (여기에서는 VI 를 쓰지만 nano 나 원하는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 sudo vi /etc/environment
아마 열게 되면 어떻게 되어 있을지는 다 다르겠지만 다음 3개의 줄을 추가해주면 된다.
GTK_IM_MODULE=fcitx
QT_IM_MODULE=fcitx
XMODIFIERS=@im=fcitx
만약에 해당 줄들이 존재한다면 값들만 제대로 입력되어 있는지 확인하면 된다.
#
# This file is parsed by pam_env module
#
# Syntax: simple "KEY=VAL" pairs on separate lines
#
GTK_IM_MODULE=fcitx
QT_IM_MODULE=fcitx
XMODIFIERS=@im=fcitx
나 같은 경우에는 위처럼 아무것도 없는 파일이어서 그냥 아래 마지막 3개 줄만 추가해줬다.
각 줄에 대해서 조금만 더 설명을 하자면 먼저 GTK_IM_MODULE, QT_IM_MODULE 은 각 GTK, QT 에 대한 모듈 설정을 해주는 줄이다. GTK 나 QT 는 쉽게 말해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사용할 수 있는 툴킷이라고 보면 된다.
마지막으로 XMODIFIERS=@im=fcitx 이 줄은 XIM 서버가 시작할 때 fcitx 가 사용되도록 설정하는 부분이다. 더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https://fcitx-im.org/wiki/Input_method_related_environment_variables
Input method related environment variables - Fcitx
This page introduces the meaning of following environment variables. You don't need to understand it to use Fcitx, but it might help when you meet some problem, and let you examine what's going wrong. XMODIFIERS This variable affects XIM only. The format i
fcitx-im.org
설정 도구
이제는 fcitx5-configtool 을 실행해서 한글 입력만 추가해주면 끝이다. 직접 열어도 좋고 터미널에서 `$ fcitx5-configtool` 을 입력해도 괜찮다.
열게 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그러면 제일 먼저 해야 하는 것은 아래 'Only Show Current Language' 체크를 아래 그림처럼 해제해야 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hangul' 을 찾아본다. 여기에 나타나지 않았다면 fctix5-hangul 이 제대로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추가해주면 된다. 더블 클릭이나 주어진 화살표 아이콘 '<' 을 사용해도 된다.
여기까지 했다면 이제 실제로 입력이 되는지 확인하면 된다. 입력이 다 된다면 오키!
추가로 언어 변경 부분에서 한글 - 영어 변경하려면 위 그림에 있는 English 를 그대로 두어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Global Options 에 들어가면 어떻게 언어를 변경할지 키 설정을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으니 참고하면 된다. 참고로 나는 오른쪽 Alt 키로 변경하도록 설정했다.
결론
한글 입력은 그렇게까지 어려운 부분은 아니다. 하지만 어디서부터 찾아야하고 어떤 것이 필요한지 모른다면 나처럼 일주일 넘도록 못 찾고 해메는 그런 불상사도 발생할 수 있다... 제발 리눅스에서 다른 언어 지원도 설치할 때부터 잘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갖고 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njaro X11 외부 모니터 연결하기 (0) | 2022.06.19 |
---|---|
Manjaro on Razer Blade 14 (0) | 2022.06.12 |